일상에서 하얀 바탕의 책을 보거나 모니터를 볼 때 갑작스럽게 눈 앞에 날라다니는 까만 날파리를 잡으려 손을 휘적거리거나 눈을 깜빡이는 경험을 하시는 분들 있으실 겁니다. 눈 안에 뭐가 들어갔겠지 하고 방치하거나 넘기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비문증이란 무엇인지 파헤쳐봅시다.

비문증이란?

사람에 따라 여러가지로 표현하곤 합니다. 눈 속에 검은 물체, 검은 구름, 거미줄, 날파리, 검은 실 등등 시야에 방해가 되어 계속해서 신경이 쓰이는 증상입니다. 시신경조직이나 농축된 유리체 출혈로 인해 유리체강내에 떠다니게 되어 사람이 인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날파리증이라고도 불리우며 시선을 이동하면 따라서 움직이는 현상이다. 눈이 느끼는 현상의 일종으로 질병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문증 원인

안구를 가득 채우고 있는 유리체라는 부위가 있습니다. 유리체란 망막과 수정체사이에 공간을 채우고 있는데요. 맑고 투명하고 젤리와 같은 성분을 띄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깨끗해야 우리 시야도 깔끔하게 확보할 수 있는데 평소 눈을 비비는 습관이나 외적으로 인한 상처 노화에 따라 유리체 부분에 이물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혼탁하면 망막에 그림자가 비쳐 눈 앞에 무엇인가가 떠다닌다고 보여질 수 있습니다.

비문증 증상

눈 앞에 무언가 떠다니기 때문에 시력저하를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시력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습니다. 비문증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조금 위험한 과정이기도 합니다. 경과가 진행되면서 크기가 커진다거나 갯수가 늘어나서 시야를 가려 어지럼증 유발이나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지는 정도가 되면 수술을 요할 수 있습니다. 보통 레이저로 수술하지만 수술 후 성과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눈 앞에 무언가가 떠다니는 것을 최대한 신경쓰지 않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 Recent posts